문타쿠, 공부하다.
C언어를 공부하면서 사용한 헤더 파일(.h) 및 함수 정리 본문
#include <stdio.h> |
printf( ) | 표준 출력 함수 |
sprintf( ) | 서식을 지정하여 문자열을 만드는 /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 (출력 대신 문자열을 버퍼에 저장) |
|
scanf( ) | 표준 입력 함수 | |
scanf_s( ) | scanf()의 단점을 보완한 입력 함수 | |
getchar( ) | 문자 입력 함수 | |
putchar( ) | 문자 출력 함수 | |
gets( ) | 문자열 입력 함수 | |
gets_s( ) | gets()의 단점을 보완한 문자열 입력 함수 | |
fgets( ) | 파일 입력 함수 | |
puts( ) | \n을 포함한 문자열 출력 함수 |
#include <stdlib.h> |
srand(time(NULL)); ㄴrand 함수를 사용하기 전, 위의 코드를 작성해야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마다 난수 값이 다르게 나온다. ㄴtime 함수는 #include <time.h>에 선언되어 있다. |
|
rand( ) | 난수를 생성하는 함수 | |
malloc( ) | (메모리 함수) 동적 메모리 할당 | |
calloc( ) | (메모리 함수) 동적 메모리 할당 + 메모리 값 0으로 초기화 | |
free( ) | (메모리 함수) 동적 메모리 해제 | |
_countof( ) | sizeof() 연산자는 크기를, _countof()는 개수를 나타냄 | |
atoi( ) |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는 함수 | |
strtoi( ) | 특정 진법으로 표기된 (여러 개의)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는 함수 | |
atof( ) | 문자열을 실수로 바꾸는 함수 | |
strtof( ) / strtod( ) | 여러 개의 실수로 된 문자열을 실수로 바꾸는 함수 |
#include <string.h> | memset( ) | (메모리 함수) 메모리 값 설정 |
memcmp( ) | (메모리 함수) 메모리 값 비교 | |
memcpy( ) | (메모리 함수) 메모리 값 복사 | |
strlen( ) | (문자열 함수)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 | |
strcmp( ) | (문자열 함수) 문자열을 비교하는 함수 | |
strcpy( ) | (문자열 함수) 문자열을 복사하는 함수 | |
strcpy_s( ) | (문자열 함수) strcpy()의 단점을 보완한 문자열을 복사하는 함수 | |
strcat( ) | (문자열 함수) 문자열을 붙이는 함수 | |
strchr( ) | (문자열 함수) 문자열에서 문자를 검색하는 함수 | |
strrchr( ) | (문자열 함수) 문자열의 오른쪽 끝부터 문자를 검색하는 함수 | |
strstr( ) | (문자열 함수) 문자열에서 문자열을 검색하는 함수 | |
strtok( ) | (문자열 함수)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자르는 함수 |
#include <stdbool.h>
true(1)와 false(0)를 나타내는 논리 자료형
#include <stdint.h>
크기가 표시된 정수 자료형
#include <limits.h>
정수 자료형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표현
#include <float.h>
실수 자료형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표현
#include <math.h>
수학함수
- 제곱: pow()
- 루트: sqrt()
실수끼리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구하고 싶다면?
- fmod(double), fmodf(float), fmodl(long double)
절댓값을 구하고 싶다면?
- abs(정수), fabs(double형 실수), fabsf(float형 실수)
#include <stddef.h>
offsetof 매크로: 구조체에서 멤버의 상대위치를 구할 때 사용하는 매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