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컴퓨터 구조 (5)
문타쿠, 공부하다.

04-1. ALU와 제어장치 CPU: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 ALU: 계산 담당 제어장치: 명령을 읽어 들이고 해석 레지스터: 작은 임시 저장 장치 "ALU" 계산을 담당하는 ALU는 어떤 정보를 받아들이고 계산하여 내보낼까? 레지스터를 통해 1) 피연산자를 받아들이고, 제어장치로부터 수행할 연산을 알려주는 2) 제어 신호를 받아들인다. ALU는 레지스터와 제어장치로부터 받아들인 피연산자와 제어 신호로 산술 연산, 논리 연산 등 다양한 연산을 수행한다. 1) 연산을 수행한 결과값 특정 숫자나 문자가 될 수도 있고, 메모리 주소가 될 수도 있다. 결과 값은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속도는 레지스터에 접근하는 ..

03-1. 소스 코드와 명령어 컴퓨터는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계이다. 명령어는 컴퓨터를 실질적으로 작동시키는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든 소스 코드는 무엇일까? -> 모든 소스 코드는 컴퓨터 내부에서 명령어로 변환된다. "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 컴퓨터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해할 수 있을까? -> NO 우리가 프로그램을 만들 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가 아닌 사람이 이해하고 작성하기 쉽게 만들어진 언어이다. 그리고 컴퓨터는 이 언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고급 언어 사람을 위한 언어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가 고급 언어에 속한다. 사람이 읽고 쓰기 편한 것은 물론이고, 더 나은 가독성, 변수나 함수 같은 편리한 문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어떤 복잡한 프..

02-1. 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정보 단위" Bit 컴퓨터가 이해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n비트는 2ⁿ가지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Byte 1Byte = 8Bit 2⁸(256)개의 정보를 표현 KB 1KB = 1,000Byte MB 1MB = 1,000KB GB 1GB = 1,000MB TB 1TB = 1,000GB Word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 워드의 크기는 CPU마다 다르지만, 현대 컴퓨터의 워드 크기는 대부분 32비트 또는 64비트이다. 하프 워드: 워드의 절반 크기 풀 워드: 1배 크기 더블 워드: 2배 크기 "이진법" 이진법 숫자가 1을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 올림하여 0과 1만으로 모든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이진수..

01-1. 컴퓨터 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 컴퓨터 구조는 실력 있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지식이다. 그렇다면 실력 있는 개발자가 되려면 왜 컴퓨터 구조를 알아야 할까?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면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이점"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컴퓨터 구조 지식은 문법에 맞는 코드만 작성할 줄 아는 개발자를 넘어 다양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줄 아는 개발자로 만들어준다. 성능, 용량, 비용을 고려한 개발 가능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면 입력과 출력에만 집중하는 개발을 넘어 문법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성능, 용량, 비용까지 고려하며 개발하는 개발자가 될 수 있다. 내가 개발한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본인이 가장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프로그램을 위한 최적의 컴퓨터 환경을 스스로 판..

Chapter 01~08 ㄴ컴퓨터 구조 https://hongong.hanbit.co.kr/%ec%bb%b4%ed%93%a8%ed%84%b0-%ea%b5%ac%ec%a1%b0-%ec%9a%b4%ec%98%81%ec%b2%b4%ec%a0%9c/ [한빛미디어]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좋은 개발자는 컴퓨터를 분석의 대상으로 바라볼 뿐, 두려워하지 않는다!‘전공서가 너무 어려워서 쉽게 배우고 싶을 때’, ‘개발자가 되고 싶은데 뭐부터 봐야 하는지 모를 때’ ‘기술 면접 hongong.hanbit.co.kr